본문 바로가기
🌐 사회 이슈 & 잡노트

2025 서울국제불교박람회, 불교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담다

by 샤인레오 shineleo 2025. 4. 23.
728x90
반응형

2025 서울국제불교박람회, 불교의 현재와 미래를 한눈에 담다

2025년 4월 3일부터 6일까지, 서울 코엑스 C홀과 봉은사 일대에서는  
‘2025 서울국제불교박람회’가 열렸다.  
올해 박람회는 ‘지혜로운 삶, 자비로운 실천’을 주제로,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불교문화를 전방위적으로 조명했다.

참여업체는 총 368곳, 부스는 481개로 구성되어  
관람객 약 20만 명이 방문하며 역대급 규모를 기록했다.  
종교 행사를 넘어,  
불교를 테마로 한 라이프스타일과 예술, 기술이 융합된  
종합 문화 박람회로서 입지를 다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5 불교박람회 포스터



🎨 콘텐츠의 확장: 체험에서 트렌드까지

이번 박람회는 전통 불교 미술과 서적을 비롯해  
생활 속 불교를 제안하는 다양한 콘텐츠들이 마련됐다.  
염주 만들기, 다도와 명상 클래스,  
싱잉볼 체험 등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부스가 인기를 끌었고,  
AI 필터를 활용한 ‘AI 출가 체험’은  
SNS에서 화제를 모으며 젊은 세대의 발길을 끌었다.

또한 ‘BTN 불국토상조’가 진행한 웰엔딩 임종 체험 부스는  
불교식 장례문화를 직관적으로 체험할 수 있어  
관람객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 눈길을 끈 불교 굿즈

현장에서 가장 많은 카메라 세례를 받은 건  
단연 불교 굿즈였다.  
‘극락도 락이다’ 문구가 적힌 티셔츠,  
합장 모양의 손톱깎이,  
‘번뇌가 닦이는 수건’ 등  
재치 있으면서도 의미를 담은 제품들이 주목받았다.

이러한 굿즈는 불교의 상징성을 현대적인 언어로 재해석한 결과로,  
젊은 세대와 비불자 관람객들에게도 인기가 높았다.  
상품성과 메시지를 동시에 잡았다는 평가가 많았다.

🌱 MZ세대를 향한 기획력

2025 서울국제불교박람회는  
단순한 전시나 판매를 넘어  
불교문화를 트렌디하게 풀어내는 시도들이 돋보였다.  
MZ세대 100인을 사전 크루로 모집해  
박람회 홍보 콘텐츠를 함께 제작했으며,  
제로 웨이스트, 비건, 윤리적 소비와 같은 사회적 키워드를  
불교적 가치와 연결한 콘텐츠도 함께 선보였다.

이러한 시도는 불교에 대한 거리감을 좁히고  
일상 속 철학으로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기획으로 작용했다.

2025 서울국제불교박람회는  
전통과 현대, 종교와 실천, 철학과 문화의 교차점에서  
불교가 나아갈 수 있는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후에도 이러한 방향성이 지속된다면  
불교문화는 더 많은 사람들의 삶 속으로 가까이 들어올 수 있을 것이다.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다음 박람회 일정도 주목해 보는 것이 좋겠다.  
단순한 종교 행사가 아닌,  
누구나 경험하고 이해할 수 있는 열린 플랫폼으로서의 박람회가  
계속해서 자리매김하고 있으니 말이다.

이번처럼 새로운 문화, 콘텐츠,  
조금 낯설지만 흥미로운 현장이 있다면  
다음에도 바로 찾아와 소개해드릴게요.  
다음 이야기에서도 또 만나요!

 






728x90
반응형